![](https://blog.kakaocdn.net/dn/de9HSl/btsHOKgjkAx/6AtLm3wZbGhcbkaFsF9Vp0/img.jpg)
<瑞山 龍賢里 磨崖如來三尊像> 충청 서산시 운산면에 위치한 바위에 새겨진 삼존불상 (마애불)으로 백제의 불상 조각 작품으로 추정한다.
세 불상이 모두 입가에 오묘한 미소를 머금어 흔히 백제의 미소라 불리는 불상으로 국보 제84호로 지정되었다.
![](https://blog.kakaocdn.net/dn/z11iC/btsHOI4blYq/7xsvDdtxIFKsmBJPNkQ2E1/img.jpg)
(퍼온사진) 빛의 각도에 따라 선명도가 다르다
![](https://blog.kakaocdn.net/dn/vuzTd/btsHNyBa3vw/1IbqtUU3sukjnGxliUNK2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lQ9pa/btsHPicwq7K/bex546nevL6luReTO4BC0K/img.jpg)
서산보원사지(瑞山普願寺址)
충청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에 있는 백제시대 절터. 사적 제316호. 10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석조(보물 제102호), 당간지주(보물제103호).오층석탑(보물 제104호) 등의 유물과 초석이 남아 있다.
지정면적 102,886㎡. 1987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상왕산(象王山, 307.1m) 서남쪽 계곡의 보원마을에 있었으나, 1970년대 일대의 대대적 목장경영으로 인하여 마을주민은 다른 곳으로 이주하고 현재는 절터만 남아 있다.
절터에는 10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석조(보물, 1963년 지정)를 비롯하여 1963년 보물로 지정된 당간지주·오층석탑·법인국사보승탑·법인국사보승탑비 등의 유물과 초석이 남아 있다.
특히 1968년 절터에서 백제시대의 금동여래입상(높이 9.5㎝)과 통일신라시대의 금동여래입상(높이 7.5㎝)이 발견되었다.
![](https://blog.kakaocdn.net/dn/c2bmYI/btsHOKm4qLV/kvqKYZhPibQrdjMaVePtH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FKL4T/btsHOl2meqP/9SkuyWENMbocTZTBbz8ys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tSESI/btsHO2udQnc/PvDvznEkvO6NejVY0mrAX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V5hqi/btsHPcKjVXk/nddS0szKHoyYtJW4DZacO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kDQlc/btsHOfgNncv/1CPNaxTRWYm083KnywkEV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tgWeJ/btsHNDPYzeh/yXwiYRCBDzKaHnApaQ4K4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9xE4g/btsHPmTth65/ivEGKjTaqoWcAF8kWL6tv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Mo6m4/btsHNZ6hFoz/wPk1o2YdHOkaqYETL3zf1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bYaWs/btsHPmTtiBm/IIV98Wow6rqfI4Wh7YI6nk/img.jpg)
서산 6쪽마늘
![](https://blog.kakaocdn.net/dn/z49tb/btsHNdqD0ed/wGbIJ1YhEB7JJ9JX23KWKk/img.jpg)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의 말사이다. 〈사적기 事蹟記〉에 의하면 654년(무열왕 1) 혜감국사가 창건할 당시에는 개원사라 했는데, 1350년(충정왕 2) 처능대사가 중건하면서 개심사라 했다고 한다. 1484년(성종 15)에 대웅전을 중창했으며 1740년 중수하고 1955년 전면 보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전체적으로 구릉형을 따르면서도 산지형으로 변천한 일탑형 가람배치를 보인다. 평탄한 지역에서 북으로 자연계단을 오르면 3단 가량으로 조성된 평탄한 사지가 보인다. 2단에 안양루가 남면하여 서 있고 중정으로의 입구는 안양루와 무량수전 사이의 협소한 가설문으로 되어 있다. 대웅전을 중심으로 좌우에 심검당과 무량수전이 있고 정면에 안양루가 있는 표준형이다. 이외에도 명부전과 팔상전 등의 당우가 남아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dMf0JB/btsHNZd7EPd/I4m4k9pJsbKGQHKkQIfO3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GBno/btsHPysFryk/ldKqpmjcTuI0UbO2kokjd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QLt0P/btsHPalqYR7/bVKa2RgF7fyrgbqEqfir1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Ty9ed/btsHNZFcIzT/pVB2vvEk3N95rKzxvxWEw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bU7b/btsHNZSKieW/Oak2Qt20XJREqXMBKatxi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5OFJK/btsHO4r4fVQ/p72k2xgoXdLRr2RkJvmz9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wmdZe/btsHONxmQnG/aLsO6w5GARY6YQI4OawByK/img.jpg)
서산목장..한우가 한가로이 풀을 뜯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cvS1wj/btsHODaEuk7/wBTKszYPV6o40Et2JEW9x1/img.jpg)
대천해수욕장
![](https://blog.kakaocdn.net/dn/bjxcK6/btsHN0xlg3X/zAzHpmDPPe7jfkVEFo8Zf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FdHOV/btsHNpYKMLi/S0P6pjFfri7KJvwcemT9B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USpH4/btsHOYMh3VC/ne1A3sS5IflZF3zQpqOlTk/img.jpg)
대천해수욕장의 일몰
![](https://blog.kakaocdn.net/dn/E08Ui/btsHOKtQzIK/TqGIHX0CfuB4BIxKzlQUd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tJei1/btsHN1C2wVg/y6JHyIfId0iIMSYxDuiq7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aCBQh/btsHOidvGY7/rTLbvnCXVZOaQhGklfDfe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rebBn/btsHOgUlp94/cuj6mu0U4Gdbn6ekIaICk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2HuIO/btsHOidvG8G/463Ljou1PBDsOEOk9WyAr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Hf5G1/btsHNAyWR6f/5UEIoJKmREsulftxLdFKd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DPb1c/btsHM4tL03g/RfsqVjiMnp8tzJiuucqny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Qcpjb/btsHOHxjrIf/EclvHhFIsi3iRIVlK5ScX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yNsPB/btsHOEAEYxp/j966rixSEtJE2TRKJeEKI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R2ik4/btsHPhracap/1wVihonGCd79AALV9dlYh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6KOzj/btsHNeXrgVI/F4dbKFaQWBPteFdBoMMPX0/img.jpg)
강원도 산골 산리 마을 사범학교를 막 졸업한 수하(이병헌)가 첫 부임을 온다. 빨래를 태워 먹고 달아나던 홍연(전도연)은 길을 묻던 수하를 만나고 마음이 설레인다. 산골 마을답게 소란한 교실, 수하는 늦깍이 초등학생인 홍연의 담임 선생님이 된다. 홍연은 매일 검사받는 일기에 수하에 대한 마음을 적어내지만 수하는 같은 날 부임한 양은희(이미연)선생에게 마음이 가 있다. 양은희 선생과 수하가 가까워질수록 애가 타는 홍연, 양은희 선생이 서울의 약혼자와 유학을 가기 위해 급히 학교를 떠나자 홍연은 겨우 마음을 놓는다.
![](https://blog.kakaocdn.net/dn/cYDeMS/btsHPcXRUdK/d8Uxp98Bn9PzvjKxtSts1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unJv0/btsHNYfcKBe/tEWbtnPo5iEhdv4PL8WW20/img.jpg)
영광 풍무산 황토훍길.. 맨발에 느끼는 감촉이 부드럽다.
![](https://blog.kakaocdn.net/dn/b2E5gO/btsHOgtc8jV/tgNcYCqHBxpN1w0dvpvcm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JUVNX/btsHPe82j5Z/Ek6SeJdgZ7B94h2F0wcW4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8SGu/btsHPd97LxM/QbY2yDKMxCFGQuCxFdYtK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movwK/btsHNqwDfnw/8A2IyASQe5zGV4KRtUDOv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wEfy/btsHNwp5wvU/HKEngKhvIErNyOE94NRN6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z0gSf/btsHPdh9fmR/J8faTDPmIvwsK8uyunqgV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iL6n/btsHM4N3FQT/fnwrDrQmmQKxMJptNkdrc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2pmxR/btsHNxbl5Wb/w97SdTjmga47EKjGKTSsw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NZEBx/btsHOJaQT6D/bhCiQjK9hK2L7vNoKfcGB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0Ww8/btsHOJuW5YS/b3KMDYKv65Ed7OZkGMAuKK/img.jpg)
백제 최초 불교 도래지
![](https://blog.kakaocdn.net/dn/LSurT/btsHOikhoe3/a5eUAldPPVwGUx6i5VCDQ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W1VzP/btsHNY0zw6n/yuiaWBG79s2AprtwwHFD10/img.jpg)
법성포 백제불교 최초 도래지. 인도 승려 마라난타가 실크로드의 둔황과 장안(현재의 시안)을 거쳐 백제 침류왕 원년(384) 상하이 에서 바다를 건너와 발을 처음 디딘 곳이다
![](https://blog.kakaocdn.net/dn/zovkZ/btsHNcyuGM3/GEE9HDbTvWyQgPvRnPSMJ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NZOhC/btsHNFmF5SE/FxOZvhTqDRjDwRdhpKkE81/img.jpg)
영광에서도 오지였던 백수읍은 2003년 백암리~길용리 16.8㎞ 백수해안도로 개통으로 교통 상황이 크게 개선됐다. 이 도로는 개통과 동시에 경관이 빼어난 해안 드라이브 코스로 소문나며 2006년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에 선정되고, 2011년 ‘대한민국 자연경관대상’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한마디로 영광스러운 관광 명소다.
백수해안도로 아래에 데크 산책로 백수해안노을길이 조성돼 있다.
백수해안도로를 따라 달리면 시시각각 변화하는 바다가 영화처럼 멋진 풍경을 선사한다. 제8주차장에서 건강365계단을 거쳐 노을전시관으로 이어지는 백수해안노을길은 그중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구간으로 꼽힌다. 탁 트인 서해 바다와 계마항을 오가는 선박의 길잡이 역할을 하는 대신등대가 아련하고도 은은한 풍광을 자아낸다.
![](https://blog.kakaocdn.net/dn/rwFPP/btsHPxAwKlH/wPdzoKWeNcKxOOk9k6ZIe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BZITY/btsHPqByRMK/jhoZW1byMHkAXUmrq4b8I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9csrq/btsHNV3YIEn/3Gpb4cHNU1SWyhTM92vva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ATzHR/btsHNpLbNo9/xW4ahaCQnenK6x6CBPJ0i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4GvCZ/btsHOF0wPLx/VwZWoKQ0Gn8fkNsoB4gvi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pZYMR/btsHOFM2zgm/JHMvetaEiACnedO7kOQOB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tnv9d/btsHO2140g9/Gg91EBPzkPzmqTv1ARywA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fWXQi/btsHM6FaDNw/wNPp75ok9o05yEcKFugnV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jOIOu/btsHOD9zBKE/wem3h4eWeG77aocDL01fb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JkCq5/btsHOfHQOf7/FMg8hIwBXTIaheArHxPWz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cKYSC/btsHNVJCExC/NU1ITKaMDDSuDkv08OxAW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A6ce8/btsHOH48Oz2/UaLREFciNPDO5dbx66Q8A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gJIhc/btsHPxN36l2/KSM90IfXVgP9VKEITldra1/img.jpg)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에 있는 백제시대의 절터
사적 제307호.<삼국유사>권1 태종춘추공조에 의하면 백제 법왕이 창건한 절로 처음에는 오합사라고 불렀으나 신라 문성왕(839~859) 때 중국 당나라에서 돌아온 낭혜화상 무염이 가람을 크게 중창하면서 절 이름도 성주사로 바꾸었다고 한다. 또한 백제가 멸망하기 직전에는 적마가 나타나 밤낮으로 울면서 절 주위를 맴돌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이 절은 신라 구산선문의 하나인 성주산파의 중심 사찰이었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뒤 지금까지 절터만 남아 있다. 1968, 1974년 2차례에 걸친 발굴·조사에 의해 금당·삼천불전지·회랑·중문 등의 건물지가 밝혀졌으며, 이때 통일신라시대의 소조불두와 백제·통일신라·고려 시대의 와당류가 출토되었다.
현재 중요문화재로는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국보 제8호), 보령 성주사지 5층석탑(보물 제19호), 동서 일렬로 배치된 보령 성주사지 중앙 3층석탑(보물 제20호)과 보령 성주사지 서 3층석탑(보물 제47호), 성주사지 동 3층석탑(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6호), 성주사지 석등(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3호) 등이 전해지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Lwq0G/btsHNoS3Sku/w954RsIpENQpEIhooHKAK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SdAMS/btsHOW8NRd8/IhuEcIKm5rJAr3078Kd2v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lVTuV/btsHOB4YzN7/XNcB90YC1ivQBK3okQDfA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G2EJi/btsHM57lrE1/GC05iHlPxMnCtzNWydKas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emVXG/btsHOEm9j3i/ckHYXRsajwpxEsGyksOXu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IytYl/btsHM23Nd9v/kaEeJVYqZYFkHaG7OO4e8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QKLUt/btsHPd97OJH/KQ9TcbkQXvC7chlDKoP0w1/img.jpg)
예산 시장
![](https://blog.kakaocdn.net/dn/bnaJY3/btsHOD2PjJd/43nrKkJPZDHmRqZFdDSuk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oOM3E/btsHOGd5RXI/M8xJKqAJxdhrOtSbDx5TB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M8OCB/btsHOmNHLsX/HbsmrHt3fGXLnlBhBAqK7K/img.jpg)
사람은 제법 있는데.. 맛은 별로.. 가성비는 괜찮아요.
![](https://blog.kakaocdn.net/dn/xgcLh/btsHM6LVros/zpN9MoTxl62rUvT0CLjEJ0/img.jpg)
김정희 金正喜 학문과 예술에 달통한 천재
자 원춘(元春)
호 추사(秋史), 완당(阮堂), 예당(禮堂), 시암(詩庵), 노과(老果), 농장인(農丈人), 천축고선생(天竺古先生)
출생 1786년
사망 1856년, 본관 경주(慶州)
관련 저서 김정희 세한도, 완당전집
진정한 천재는 한 세기에 하나쯤 태어난다고 볼 적에 우리는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를 꼽을 수 있다. 그의 예술가적 재질을 두고 그렇게 말할 수 있지만, 실사구시에 철저했던 실학자의 면모 또한 이에 빠지지 않는다. 조선 왕조의 사관은 인물평에 있어 인색하기로 유명하다. 대개 젊은 사관들은 꼬장꼬장하게 사필을 휘둘러 웬만한 인물은 죽은 뒤에도 그들의 붓방아에 한번쯤 난도질당해야 했다. 그런데 김정희의 죽음을 두고 사관은 이렇게 썼다. 총명하며 굳세고 꿋꿋했으며 뭇 책을 널리 읽어서 금석문이나 그림, 역사에서는 그 깊이를 꿰뚫어 알았고, 글씨에서는 초서, 해서, 전서, 예서 할 것 없이 참 경지를 깨쳤다. ···세상 사람들이 송나라의 소동파에 비유한다. 《철종실록7년 12월조 그는 여러 분야를 추구해 모두 최고의 경지에 들었다
![](https://blog.kakaocdn.net/dn/c2CG9u/btsHOIwf0KY/0XrHbiazkkwiOfnJ92zfj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5gbGs/btsHO4FA3H2/ITdXhzXYcCKT9W7otIMKX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dsFqt/btsHOe939gH/4qSrSpnLp2syBGjEFU63S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MTLtr/btsHOMd8Uqh/RB1rCsnylSkvioB3ELKBzK/img.jpg)
추사 김정희 묘
![](https://blog.kakaocdn.net/dn/cqVOYB/btsHO0pOiGq/JPhbO9Z27XZcFToS5KvuX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YMBQK/btsHNUcUnAg/luc9lDVH3auNvRLaMroLw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BmzOk/btsHNcZyBT3/37rACjZLSDbBL6qBWW8KY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PyS3/btsHONc2fqX/cGq8jt7f58uZp48KcvQ17K/img.jpg)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양산 두꺼비, 나비, 알락하늘소(2024.6.23,6.29,7.29) (0) | 2024.06.24 |
---|---|
드림파크의 싱그러움(2024.6.6) (0) | 2024.06.06 |
인천광역시 서예대전 초대 작가전(2024.5.24) (0) | 2024.05.24 |
김포 승마산에서(2024.5.19) (0) | 2024.05.19 |
1박2일 강화섬 여행(2024.5.17-18) (0) | 2024.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