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

의성,영천여행 (2024.8.3)

홍길동이 2024. 8. 3. 20:48

그동안 가보지 못했던 경북 의성 고운사, 의성 조문국 박물관. 의성 금성면 고분군, 빙계 계곡, 영천 은해사를 들렀다.

의성 고운사 신라 681년(신문왕 1)에 의상(義湘)이 창건하여 고운사(高雲寺)라 하였다. 그 후 최치원(崔致遠)이 승려 여지(如智) · 여사(如事)와 함께 가운루(駕雲樓)와 우화루(羽化樓)를 건립하고 이를 기념하여 최치원의 자(字)를 따서 고운사(孤雲寺)로 이름을 바꾸었다. 헌강왕 때는 도선(道詵)이 약사여래석불과 석탑을 안치하였고, 948년 운주(雲住)가 중창하였다.

도선이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3층 석탑

         고운사 대적광전

대적광전 내부
고운사 고승들..
고운사는 신라 신문왕 원년(서기 681년)에 해동 화엄종의 시조이신 의상대사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부용반개형상(연꽃이 반쯤 핀 형국)의 천하명당에 위치한 이 사찰은 원래 高雲寺였다. 신라말 불교와 유교ㆍ도교에 모두 통달하여 신선이 되었다는 최치원이 여지ㆍ여사 양대사와 함께 가운루와 우화루를 건축한 이후 그의 호인 孤雲을 빌어서 孤雲寺로 바뀌게 되었다.고려 태조 왕건의 스승이자 풍수지리사상의 시조로 받들어지는 도선국사가 가람을 크게 일으켜 세웠으며 그 당시 사찰의 규모가 五法堂十房舍(5동의 법당과 10개의 요사채)였다고 한다. 현존하는 약사전의 부처님(보물 제246호)과 나한전 앞의 삼층석탑(경북 문화재자료 제28호)은 도선국사께서 조성하신 것들이다.특히 고운사는 해동제일지장도량이라 불리는 지장보살 영험 성지이다. 옛부터 죽어서 저승에 가면 염라대왕이 고운사에 다녀왔느냐고 물었다고 하는데 지장보살님의 원만자비하신 풍모는 물론이거니와 명부십대왕의 상호와 복장도 다른 사찰에서는 보기 힘든 위엄과 정교함을 자랑한다.일제시대에는 조선불교 31총본산의 하나였고 지금은 조계종 제16교구의 본사로 의성, 안동, 영주, 봉화, 영양에 산재한 60여 대소사찰들을 관장하고 있다. 사세가 번창했을 당시에는 366간의 건물에 200여 대중이 상주했던 대도량이 해방이후 쇄락하여 많은 사찰재산이 망실되고 지금은 이십여명 대중이 상주하는 교구 본사로는 작은 규모의 사찰로 전락하였다.하지만 10여년전부터 중창불사의 뜨거운 원력으로 주변을 정리하고 낡은 건물들을 수리 및 단청하여 지금은 위풍당당한 본산의 위상과 소박하고 절제된 수행지로서의 이미지가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찻집 우화루 내부

가운루.. 최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고.. 가운루, 우화루는 최치원이 만들었다고...

고운사로 가는 길..맨발로 걸을수 있다.

소나무 상처...일제 강점기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 송진을 채취한 흔적..

최치원 문학관

           의성 전통시장

      닭발과 잔치국수로 점심을..

             조문국 박물관

박물관에서 본 조문국 사적지.. 고분군
조문국 고분군(의성 금성면 고분군).. 삼국시대(5~6세기)에 조성된 대규모의 고분군..경북 북부지역 최고 최대 고분군으로 현재까지 374기가 남아있다.
조문국 고분군

빙산사지 5층석탑

      빙혈...더위를 싹 씻어 준다.

              <영천 은해사>
은해사는 조선 31본산, 경북 5대 본산,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의 자리를 지키는 경북지방의 대표적 사찰이다.

교구 본사 중 본존불로 아미타불을 모시는 미타 도량으로도 유명하다. 신라 41대 헌덕왕 1년(809년) 혜철국사가 해안평에 창건한 사찰이 해안사인데 이 해안사로부터 은해사의 역사가 시작된다. 현존하는 암자만도 여덟 개가 있고 말사 숫자가 50여 개에 이르고 한국 불교의 강백들을 양성, 교육하는 "종립 은해사 승가대학원"이 있다.
불, 보살, 나한 등이 중중무진으로 계신 것처럼 웅장한 모습이 마치 은빛 바다가 춤추는 극락정토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 은해사이다. 또 은해사 주변에 안개가 끼고 구름이 피어 날 때면 그 광경이 은빛 바다가 물결치는 듯 하다고 해서 은해사라고도 한다

        사랑 나무... 연리목

  저녁 예불종을 치고 있어요.

      향나무  보호수

# 의성 고운사 # 최치원 문학관
# 의성 조문국 박물관 # 의성 조문국 사적지
# 의성 빙계 계곡 # 의성 빙산사지 5층석탑  # 영천 은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