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484

군자란이 피기 시작했어요(2024.3.14~25,만개)

君子蘭(군자란)은 이름 끝에 ‘란’이라고 되어있어서 난 종류일거라 생각하기도 하지만 난과는 전혀 관계없는 식물이다. 이름은 동양적지만 고향은 남아프리카이다. 잎을 주로 관상하는 관엽식물이지만 긴 꽃대 끝에 여러 송이가 함께 피는 꽃 모양이 아름답다. 겨울철 꽃이 참 귀할 때 비록 실내이긴 하지만 꽃을 보여주니 참 고귀하다. 쭉 뻗은 가죽질의 크고 싱싱한 잎이나 화려한 꽃을 감상하는 분화용으로 주로 이용된다. 최근 원예용으로 꽃 색이나 모양이 다른 것, 잎에 무늬가 들어 있거나 잎 모양이 다른 것 등 품종들이 많이 개발되어 있다. 군자란은 수명이 30년 이상 장수하는 식물이다. 어린 묘로부터 시작하면 3년은 지나야 꽃이 피지만 일단 꽃을 피운 것은 이듬해부터는 매년 꽃을 피운다. 씨앗으로 번식해도 되지만 ..

나의 이야기 2024.03.14

영화 "파묘"를 보고(2024.2.24)

"파묘"는 제목에서 부터 알수있듯이 "묘"에 대해서 그리고 묘를 두고 벌어지는 이야기다. 파묘는 출연배우들도 아주 짱짱한 흥행 보증수표 보장되는배우가 대부분이다 우선 성덕 역을 맡은 최민식, 화림역을 맡은 김고은 그리고 영근역을 맡은 유해진,봉길역을 맡은 이도현이 출연한다. 파묘의 영화 장르를 굳이 따지자면 한국형 미스테리 / 134분 / 15세이상 관람가 개봉은 2024. 02.22일 , 감독은 장재현이다. 출연배우 역할을 보면 최민식 ( 성덕 역 ) 은 명당과 약지를 구분하는 풍수사 역할 유해진 ( 영근 역 ) 은 예를 갖추는 장의사 역할 김고은 ( 화림 역 )은 원혼을 달래는 무당 역할 이도현 ( 봉길 역 )은 경문을 외는 무당 역할을 연기한다. 예로부터 함부로 묘를 파거나 하면 안되기 때문에 이와..

나의 이야기 2024.02.24

인천 자유공원 설경 (2024.2.22)

인천에서 이렇게 눈이 많이 온것은 90년대 이후에는 처음보는것 같다. 석정루석정루에 오르면 인천항과 월미산 북성포구 등이 한 눈에 들어온다. 석정루는 삼화조선을 경영했던 이후선(李厚善)이 시민의 휴식처가 될 누각을 지어 인천시에 기증한 것이다. 출생지가 월미도였던 연유로 월미도와 인천 앞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공원 서쪽 언덕 위에 2층 191㎡ 규모로 누각을 짓고 1966. 6.23일 윤갑로(尹甲老) 시장 등 여러 내외빈이 참석해 준공식을 거행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누각명은 자신의 아호를 따 ‘석정(石汀)’이라 했는데 당대에 전국적으로 이름을 떨친 서예가 동정(東庭) 박세림(朴世霖)이 현판을, 제물포고등학교에서 유수한 평론가와 시인들을 길러낸 원정 최승렬(崔承烈)이 ‘기림’이라는 제목의 아름다운 제..

나의 이야기 2024.02.22

계양산 둘레길에서 만난 연리목과 새집(2024.2.12)

2024년 설 연휴 마지막 날이다. 오늘은 계양산 둘레길 산행에 나섰다. 약 7.2km 거리에 2시간 30 정도... 날씨가 좋아서 인지 일부 구간은 질퍽 질퍽한게 걷기가 불편한곳도 있다.계양산성 둘레길 아래 부근에 있는 연리목... 이 연리목의 존재를 아는 사람들은 거의 없는 듯. 수없이 이길을 다녔지만 나도 최근에 우연히 이 연리목을 발견했다

나의 이야기 2024.02.12

메리 골드 차 (2024.2.8)

메리 골드는 1~2년초. 높이 30~60cm. 줄기는 곧게 위로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잎은 긴 난형이다. 3~5월에 노란색, 오렌지색 꽃이 피며, 홑꽃과 겹꽃이 있다. 가을에 파종하여 이른 봄에 개화시켜 관상하며, 더위에 약해서 우리 나라에서는 5월 이후에 죽는다. 메리 골드는 vitamin C, E 등이 함유되어 있다. 발한, 수렴, 지혈, 항균, 항염, 근육통 완화(삔 데) 효능이 있고, 소화불량,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생리불순, 상처, 화상, 피부병을 치료하며, 구충제, 흥분제, 담즙 분비 촉진제, 상처나 염증 연고제, 피부 조합제로 쓰인다.

나의 이야기 2024.02.08

김포 장릉에서(2024.2.3)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에 있는 인조의 양친인 조선왕조의 추존 임금인 원종과 부인 인헌왕후 구씨가 안장된 왕릉으로 사적 제203호로 지정되어 있다. 장릉이라는 능호는 조선왕릉 중에 총 세 군데에서 사용되고 있다. 다만 '장'에 해당하는 부분의 한자는 모두 다르다. 경기도 김포에 있는 장릉(章陵): 조선의 추존왕 원종(인조의 생부)과 추존왕비 인헌왕후 (인조의 생모)를 모신 쌍릉이다. 이 왕릉은 글 장(章)자를 사용한다. 경기도 파주에 있는 장릉(長陵): 조선 16대 임금 인조와 그의 첫 번째 왕비인 인열왕후를 모신 합장릉. 이 왕릉은 길 장(長)자를 사용한다. 강원도 영월에 있는 장릉(莊陵): 조선의 6대 임금 단종을 모신 단릉. 이 왕릉은 장중할 장(莊)자를 사용한다. 김포의 장릉은 현재 문화재청에서 관리..

카테고리 없음 2024.02.03

청라도 한바퀴 돌기 (2024.1.27)

청라도는 경서동 산251·산252 일대에 위치하였다. 섬이었을 당시 해발고도는 67.7 m였으며, 면적은 0.79 km2였다. 이름은 푸른 넝쿨과 관목들이 무수히 많아, 푸른 섬이라는 뜻으로 붙었다고 한다. 섬의 모양이 뻗어나간 댕댕이 덩굴처럼 생겼다 하여 붙은 이름이라는 유래도 있다. 또 멀리서 보면 유난히 푸른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파란섬이라는 뜻으로 ‘파렴’이라고도 불렀다고 전해진다. 인천 본토와 이 섬을 오가는 여객선 편이 있었는데, 1972.6.28일에 운행이 중단 되었다가 같은 해 7. 4일부터 운행이 재개되었다. 주민들이 당제를 지내던 당나무가 아직도 남아 있다. 인천신현북초등학교 청라분교가 있었으나 폐교되었다. 청라도 남동쪽의 옛 경인 유스 호스텔 북동쪽 능선에서 고인돌 하나가 발견되었다. ..

나의 이야기 2024.01.27
728x90
반응형